무더운 여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는 특별한 날이 있습니다.
바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삼복더위입니다. 이 시기는 1년 중 가장 기온이 높고 습한 날씨가 지속되는 시기로, 우리 조상들은 이 시기에 보양식을 통해 기력을 보충하고 건강을 챙겼습니다.
2025년에는 복날이 언제인지,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복날 일정과 함께, 각각의 날에 어울리는 전통 음식과 현대 트렌드를 반영한 추천 보양식까지 모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초복 일정과 의미
초복은 삼복 중 첫 번째 복날로, 여름의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보통 초복은 하지(夏至)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에 해당되며, 2025년 초복은 7월 20일 일요일입니다.
초복은 단순히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날일 뿐만 아니라, 그 해 여름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농경사회였던 조선 시대에는 여름철 농사일로 인해 탈진하거나 지치기 쉬운 시기여서, 초복에는 반드시 몸에 좋은 음식들을 먹으며 체력을 보충하곤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초복이 되면 많은 이들이 삼계탕, 오리백숙, 추어탕 등 전통 보양식을 찾습니다.
특히 초복에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기 전, 한 그릇의 삼계탕으로 기운을 북돋고 면역력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복삼계탕, 흑마늘삼계탕, 인삼오리탕 등 다양한 보양식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또한 밀키트나 배달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도 간편하게 초복 보양식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늘어나면서, 외식 대신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초복을 보내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중복 날씨와 건강관리
중복은 삼복 중 두 번째로, 보통 초복 이후 열흘 뒤에 오며, 가장 덥고 습한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2
025년 중복은 7월 30일 수요일입니다. 이 시기는 '삼복더위의 절정'이라고 불릴 정도로 기온이 최고조에 이르며, 냉방병, 탈수, 식욕 저하 등 여름철 건강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런 이유로 중복에는 단순한 보양식 섭취 외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 냉방기기 사용 시 주의, 적절한 휴식이 중요합니다. 중복에도 전통적으로 삼계탕, 오리백숙이 많이 소비되며, 최근에는 무더위로 지친 위장을 고려해 장어구이나 닭칼국수 등 소화가 쉬운 음식도 인기입니다. 또한 중복 시기에는 얼음 동동 띄운 열무국수나 콩국수 같은 시원한 음식들도 자주 식탁에 오르며, 한 끼 보양보다는 입맛 회복과 수분 보충에 초점을 맞춘 식단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현대인들은 중복 무렵 에어컨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냉방병으로 고생하는 사례도 많으므로, 내복약이나 한방차로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중복을 맞아 건강 관련 캠페인이나 이벤트도 많아지는데요.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보양식 할인 이벤트, 배달앱에서는 중복 전용 메뉴 추천 등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최근엔 헬스케어나 웰빙 트렌드와 맞물려 비건 보양식이나 식물성 단백질 식단도 인기를 끌고 있어, 전통 음식 이외의 선택지도 풍부해지고 있습니다.
말복 음식 트렌드 변화
삼복의 마지막인 말복은 여름 무더위가 서서히 끝나가는 시기로, 기력을 회복하고 가을을 준비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2025년 말복은 8월 9일 토요일입니다. 말복은 초복과 중복보다 날씨가 다소 누그러들긴 하지만 여전히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기 때문에, 마지막 복날까지 체력 관리가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삼계탕이나 오리백숙, 추어탕 등 복날 3대 보양식이 말복에도 여전히 강세였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다양한 음식 트렌드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전복죽, 장어덮밥, 냉가락국수, 토마토김치찜, 미나리전골처럼 색다른 보양식들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채식주의자나 건강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위한 저나트륨, 저지방, 고단백 보양식도 다양화되며 말복 트렌드를 이끌고 있습니다. 말복에는 “이제 여름이 끝나간다”는 심리적 안정감이 반영되어 가족과 외식을 하거나 야외에서 식사를 즐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휴가와 맞물려 말복을 여행지에서 보내는 사람도 많아, 지역 특산물로 만든 보양식을 즐기며 말복을 특별하게 보내는 경향도 강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전라도에서는 민물장어 정식, 강원도에서는 메밀보쌈, 제주도에서는 흑돼지구이 등 지역 식문화를 활용한 보양식 경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말복은 단순히 마지막 복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긴 여름의 끝을 기념하고 가을철을 맞이하는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식단은 물론, 마음까지 달래주는 식사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삼복더위 기간에는 단순히 보양식을 먹는 것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으며, 각 복날마다 기온, 체력, 음식 트렌드가 조금씩 다릅니다. 삼계탕, 오리백숙 같은 전통 음식뿐만 아니라, 건강식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보양식을 통해 2025년 여름을 건강하고 기력 있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올여름에는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복날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보세요!